티스토리 뷰
은행 희망퇴직 조건
최근 대형 은행에서 사측이 희망퇴직 연령 하향을 꺼리고 노조는 연령대 낮추는 것을 원하는 것을 원하는 중이라고 한다.
노조 측은 인력 구조조정에 반대하고 사측은 확대를 원하는 것과는 다른 양상이다.
희망퇴직금을 두둑하게 챙긴 뒤 인터넷 은행, 핀 테크 업체로 이직을 원하는 젊은 조합원 위주의 요구가 노조 요구에 반영되고 있어서라는 분석이 보인다.
지난 28일 업계에 따르면 이렇다.
신한은행은 내년 초까지 희망퇴직 조건을 확정하고 나서 1월 말에 인사를 앞두고 희망퇴직 신청을 받을 거라고 한다.
은행 관계자는 이렇게 말했다.
"노조가 40대 초까지 희망퇴직 연령을 낮추길 원하고 있다. 그동안 지점 폐쇄에 따른 유휴인력 감축을 위해 희망퇴직 유도한 것이 사측이었는데 올해부터 기류는 정반대가 돼 버렸다."
지난 1일 노사가 희망퇴직 조건 협의를 시작한 국민은행.
여기에선 노조가 1974년생까지 희망퇴직 연령을 낮추자고 사측에 요구했다.
국민은행은 지난해 1965년생부터 1973년생까지 희망퇴직을 받았으며 올해 들어서는 1973년생을 대상에 포함시킬 수 없다는 게 사측 입장이다.
신한은행은 지난 2018년 희망퇴직할 때 1978년생 이상을 조건으로 내걸었고 다수의 40대 초반 은행원을 포함하여 총 708명이 희망퇴직한 것으로 전해진다. 이것은 지난 2017년 281명의 2배 이상의 수치다.
신한은행은 이후에 희망퇴직 연령 하한선을 끌어올렸다.
지난 7월 중간 희망퇴직 당시에는 1972년생까지만 신청을 받았고 은행들은 희망퇴직을 벌이면서 조직 중추 역할을 해야 되는 30배 후반과 40대 초반이 한꺼번에 조직을 떠나는 현상을 부담으로 여기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은행이 희망퇴직 연령을 다시 높이는 이유는 정보기술 담당자 같은 핵심 인력 유출 문제라는 분석도 있다.
30대 중반에서 40대 초반에 이직하는 일이 잦고 은행 소속의 IT 담담자는 특별퇴직금 같은 각종 혜택도 챙길 수 있는 희망퇴직이 유리할 수 있다는 의미다.
또한 핵심 인력이 경쟁 업계인 핀 테크, 인터넷 은행으로 유출되면 큰 타격이 된다.
은행 희망퇴직 조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