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쿠팡 상품 랭킹 알고리즘 조작 리뷰 알바 공정위 과징금

쿠팡이 자체 브랜드 상품 검색 순위 조작한 혐의를 저지른 것으로 전해진다.

이에 유통 업계에서 역대 최대 규모인 1400억 원의 과징금.

이어서 검찰 고발 제재를 받은 것으로 전해진다.

지난 13일 공정위는 이렇게 밝혔다.

쿠팡과 cplb (pb 상품 전단 납품 자회사) 위계에 의한 고객 유인 행위.

이것에 대해서 시정 명령 및 과징금 1400억 원을 부과하고 나서 이들 회사를 각각 검찰에 고발하기로 했다.

여태껏 쿠팡은 자신 회사 상품을 입점 업체 상품보다 우대한단 의혹을 받아왔다.

공정위 측은 이것을 사실이라고 판단한 상태다.

쿠팡 측이 PB 상품, 직매입 상품 판매를 늘리려고 검색 순위 알고리즘을 조작했단 것이다.

공정위는 쿠팡이 특정 상품에만 순위 점수를 가중 부여했다.

실제로 검색 결과는 무시하고 순위를 인위적으로 조정하는 방식으로 자기 상품을 검색 순위에 올렸다고 보는 중이다.

실제로 지난 2020년 쿠팡의 PB 생수 상품인 탐사수.

이것이 랭킹 100위 밖이었는데 알고리즘 조작을 통해 단숨에 1위로 치솟았다.

공정위 조사 결과 쿠팡은 이런 방식을 활용해서 지난 2019년 2월부터 지난해 7월.

이 시기까지 입점 업체의 중개 상품은 배제했다.

최소 6만 4250개의 자사 제품을 검색 순위 상위에 고정 노출시켰다.

여기엔 납품 업체에게 리베이트 받기로 한 상품도 포함돼 있었던 걸로 전해진다.

또한 임직원을 동원한 후기 조작 사실도 드러났다고 한다.

쿠팡은 같은 기간에 2297명 임직원들한테 PB 상품에 긍정적인 구매 후기를 달고 높은 평점을 부여하게 했다.

이런 방식을 통해 최소 7342개의 PB 상품에 7만 2614개의 구매 후기를 작성시켰다.

쿠팡을 구체적인 후기 작성 매뉴얼까지 만들어서 관리한 것으로 조사됐다.

공정위 부위원장 조홍선에 의하면 이렇다.

온라인 쇼핑몰 사업자가 입점 업체의 중개 상품을 배제했다.

자기 상품만 검색 순위 상위에 올려서 부당한 방식으로 소비자를 유인한 행위를 제재한 사안이다.

앞으로도 소비자를 기만하고 공정한 거래 질서를 훼손할 우려가 있는 행위.

이런 부분에 대해선 국내, 해외 사업자 차별 없이 지속적으로 감시.

법 위반을 할 경우 엄중하게 법을 집행할 예정이다.

이런 공정위의 결정에 쿠팡은 반발한 상태다.

소비자 선택권을 무시한 시대착오적 조치란 것이다.

이들은 당일 입장문을 냈다.

전 세계 유례 없이 상품 진열을 문제 삼았다.

지난해 국내 500대 기업 과징금 총액 절반 이상의 과도한 과징금.

형사 고발 등 결정한 공정위의 형평성을 잃은 조치에 대해서 유감을 표한다고 전했다.

또한 쿠팡 측은 행정 소송을 통해 법원에 소명도 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쿠팡 상품 랭킹 알고리즘 조작 리뷰 알바 공정위 과징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