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제주 관광업계 현황

팬데믹 때 특수 호황을 누린 제주 관광업계.

이곳에 비상이 걸린 것으로 전해진다.

비계 삼겹살 논란으로 부정적인 그림이 커졌다.

해외여행 수요 증가로 인해 항공편 좌석이 감소되기도 한다.

지난 4일 한국공항공사 통계에 따르면 이렇다.

지난 4월까지 제주부터 김포 항공 노선 편수는 6만 1096편이었다.

팬데믹 특수를 누린 지난 2022년 같은 기간 7만 3111편 대비 1만 2015편 16.4% 감소했다.

1월부터 4월 기준으로 제주에서 김포 노선 운항 편수는 지난 2021년 61159편, 지난해 6만 2539편이다.

올해엔 지난 2021년 대비 63편 0.1% 지난해 대비 1443편 2.3% 정도 줄어들었다.

이런 결과는 항공사가 팬데믹 종료 이후 해외여행 수요가 늘어나자 제주 출발, 도착 항공편 좌석을 국제선으로 돌려서 그렇다.

제주도 관광협회에 따르면 이렇다.

지난해 제주에 방문한 관광객은 1337만 529명이다.

지난 2022년 1388만 9502명보다 3.7% 정도 줄어들었다.

내국인 관광객 감소세는 더 두드러지는 중이다.

올해 들어서 지난 2일까지 제주 방문 내국인 관광객은 500만 9278명이다.

지난해 같은 기간 543만 3498명보다 42만 4220명 7.8% 감소했다.

이런 일이 생기자 제주도 관광업계는 대책 마련에 나섰다.

제주도는 제주지사랑 민간위원을 공동 위원장으로 해 주는 제주 관광 혁신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했다.

여행객 만족도 향상, 여행 품질 관리를 위해 제주 관광 서비스 센터도 설치한다.

고물가 관련 빅 데이터 기반 관광 물가 지수 개발, 상품, 서비스 실태 조사도 할 예정이다.

제주도 관광 협회는 11월까지 숙박업, 음식점 등에 대한 가격, 서비스 실태 조사를 하며 계도와 단속 활동을 진행한다.

또한 도민과 관광 사업체, 관광객이 함께하는 제주와의 약속 캠페인도 한다.

올해는 지역 사회 중심으로 제주 여행객에 대한 존중, 배려, 공정 가격, 우수 서비스 등 실천 운동을 펼칠 예정이다.

제주도는 이런 식으로 흔히 바가지요금 논란으로 구설수에 오른 시장처럼 뒤늦게 대처를 진행하고 있다.

제주 관광업계 현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