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2030대 청년 공무원 이직 퇴사 이유

적은 임금과 경직된 조직 문화를 이유로 공직을 떠난 2030대 청년 공무원이 늘어나는 것으로 전해진다.

입사 후 3년도 안 된 상태로 퇴직을 선택한 공무원은 최근 5년 들어서 2배 이상 늘어나기도 했다.

지난 22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민주당 의원 위성곤이 행안부에게 받은 저연차 공무원 대상 공직사회 조직 문화 인식 조사에 따르면 이렇다.

국가직, 지방직 공무원 응답자 48248명 중에서 32905명 68.2% 정도가 일을 그만 두고 싶단 생각을 한 적이 있다고 대답했다.

그 이유는 낮은 금전적 보상이 35.5% 정도로 가장 많았다.

악성 민원 등 사회적 부당 대우는 18.9% / 과다한 업무량은 13.9% 정도다.

공무원으로서 업무 난이도, 업무량 등 부담은 48.6% 불만족으로 대답했다.

그 이유는 체계적이지 않은 업무 인계 인수가 25.4% 정도였다.

악성 민원 등 감당하기 쉽지 않은 업무가 22.7% 정도였다.

불공정한 업무 분장, 떠넘기기는 21.7% 정도였다.

2030대 청년 지방 공무원 퇴직 현황

서울 20대 공무원 의원 면직 인원은 지난 2020년 153명, 올해 9월 283명이다.

같은 기간 부산 30대 공무원 의원 면직 인원은 58명에서 더 늘어났다.

청년 공무원이 이러는 이유는 마찬가지로 낮은 보수다.

9급 초임 공무원이 받는 월급은 최저 임금에 미치지 못하는 200만 원 정도다.

세금 떼면 150만 원 정도다.

지난 4월 인사 혁신처가 발표한 2023년 공무원 총 조사 결과

이직 생각을 하는 이유는 낮은 급여 수준이라고 51.2% 정도를 차지했다.

이에 9급 공무원 공채 경쟁률도 매년 낮아지고 있다.

올해 국가 공무원 9급 공개 경쟁 채용 시험 평균 경쟁률은 22.8 대 1이다.

31년 만의 최저 경쟁률을 기록했다.

그 밖에 경직된 공직 문화, 악성 민원, 과도한 업무 스트레스 등이다.

정부는 오는 25년 공무원 보수를 8년 만에 3% 올리기로 했다.

2030대 청년 공무원 이직 퇴사 이유